반응형

연 기/연 기 이 론 8

[영화 이론] 못 만든 단편영화 연출법

못 만든 단편영화 연출법 [필름메이커스에서 보았던 내용을 퍼왔습니다] 학생 단편영화들의 대부분은 정말 꽝이다. 이 글은 학교에서 배우는 좋은 시나리오를 쓰는 방법에 대한 내용은 담고 있지 않다. 아니 정확하게는 내가 수천 편의 학생 단편영화를 보면서 알게 된 아주 흔하게 보이는 잘못과 경향을 세세하게 정리한 내용이다. 만일에 당신이 정말 단편영화를 만들 생각이라면, 그전에 이 글을 꼭 읽어 보길 바란다. 만일에 당신이 천재라고 생각이 든다면, 그러면 그냥 찍도록. 법칙이란 건 없으니깐. 하지만 현실을 직시해라. 만일에 당신이 천재라고 생각이 든다면, 사실은 아닌 거다. 만일에 당신의 영화를 본 사람보고 "어때? 내영화?"라는 질문에 그 사람이 거짓말하지 않도록 만들고 싶다면 아래의 내용을 잘 생각해 보고..

[영화 이론] 촬영의 테크닉

촬영의 테크닉 ◈ 영상(image) 1) 화면 구성 mise-en-scene ' 미장센은 '무대 위에서의 배치(placing on stage, put into the scene)'를 뜻하는 불어이다. 이 용어는 연극 연출에서 사용되는 말로, 광범위하게는 "연출(演出, directing)"을 의미한다. 무대라는 제한된 공간 내에서 극적으로 필요한 모든 시각적 요소(연기, 조명, 세트, 소도구 등등)를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제한된 무대 공간에 의해 관객에게 보여지는 것이 결정되는데 이는 회화나 영화, 비디오 영상의 프레임과 동일한 성격을 가진다. 연극 무대 공간은 항상 3차원적이며, 사람과 사물은 실제 공간에 배치되며 그 실제 공간이란 높이(height)와 넓이(width)뿐만 아니라 깊이(de..

[영화 이론] 카메라 구도

카메라 구도 1. 구도와 심리적 효과 디렉터의 연출 의도를 이해하고 카메라맨의 감각과 구도의 기본적인 지식이 있어서 화면을 만들고 있다. 그러나 화면이 하나하나 구도도 정하고 화면이 아름다워도 살아 있는 것이다. 시간의 흐름과 더불어 전개되어 가는 화면 속에서는 연속성이라든가, 움직임이라든가를 중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면, 뉴스나 스포츠 중계, 다큐멘터리에서 취재 대상이 되는 인물이나 물체 등을 Flow 할 때 화면이 다소 흔들린다든지 구도적이나 영상적으로 불만족한 것이 있더라도 시청자에게는 신선미나 현실감을 주어 만족하게 보게 된다. 스튜디오 제작의 드라마나 음악 프로그램 등에서는 소위 "협의한 대로" 출연자가 움직이고 카메라가 움직이고 미적으로 화면의 흔들림도 허용되지 않고 이질감이 없는 화..

[연기 이론] 음성화를 위한 분석

음성화를 위한 분석 1. 충동 찾기 연기자가 극 중 인물의 충동을 알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정보처는 어휘다. 말과 말 사이의 행간까지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남의 충동'에 의해서 만들어진 어휘(대사)에서 극 중 인물의 충동을 파악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어서 이를 파악하는 능력이 연기자의 중요한 '연기 잠재력'이 된다. 음성화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본능적으로(충동보다는) 감정이 먼저 다가오는 것이다. 이미 '해야 할 말'(대사)이 알려져(쓰여) 있을 경우에 감정이 더 먼저 다가오는 것이 본성이다. 그래서 실제적으로 연기자가 충동에 다가가기가 어렵다. 다시 말하면 그 말을 하게 된 충동의 배경이나 동기, 또는 내면의 욕구나 말하고자 하는 의도보다는 본능적으로 그 말에 담겨 있는 심리나 감..

[연기 이론] 소리 말과 글말 그리고 응용하여 극작까지

소리 말 & 글말 소리 말과 글말의 차이 글말을 소리 내려면 연기자가 문법에 따라 '끊어 말하기'를 할 줄 알아야 한다. 또 글말은 소리 말과 달리 사람의 목소리의 기능을 배제한 체 얼마든지 창작이 가능해서 일상의 소리 말을 내는 목소리의 기능만으로는 부족하다. 소리 말 소리 말은 직접 목소리를 내는 것이어서 두뇌의 충동과 감정이 목소리에 그대로 살아있다. 그래서 두뇌의 움직임에 따라 리듬이나 휴지, 강조, 억양 등의 운율이 명확하게 목소리에 드러난다. 소리 말은 상대방에게 자기의 생각(의사)을 전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생활 언어' 여서 말에 조리를 내세우기보다는 신속한 전달 기능을 우선한다. 소리 말을 태어나면서부터 말을 익히고 숙달되어 언어 메커니즘이 자동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목소리를 내는 ..

[연기 이론] 무대 발성과 무대 화술이란?

무대 발성과 무대 화술 무대 발성이란? 연기자의 발성은 상대방 연기자를 겨냥하는 것이면서도 궁극적으로는 객석의 관객들이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하고, 목소리를 높이면서도 말의 가치를 상실하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연기자는 일상과 달리 자기의 목소리를 자연스럽게 증폭시킬 수 있는 능력과 전달을 수행하는 조절 기능을 가져야 한다. 오늘날 관객들이 연기자에게 요구하는 목소리는 일상과 똑같은 리듬과 억양으로 극히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요구합니다. 그러므로 무대 발성은 자연스러우면서도 객석까지 전달이 되기 위해 힘 있는 목소리를 내야 하기에 많은 훈련이 필요합니다. 무대 화술이란? 화술 구사는 단순히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행위가 아니라 예술창조를 전제로 한 연주 행위이다. 따라서 행위자가 기술을 익혀야 하고 경험이 뒤따..

[입시 준비] 대학교 연극/연기과 면접을 위한 50가지 예상질문

* 연기전공에 맞춰서 만들어진 양식인데 다른 전공은 적절하게 응용해서 준비하면 됩니다. ex) 연극 연출, 극작 * 이건 한예종 연기과와 극작과를 위해 만들어진 양식인데 ‘한예종’엔 ‘희망 대학’ 집어넣고, ‘연기과’엔 ‘희망과’ 집어넣어서 예상 대답 3줄 정도로 준비해보시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1. 나이가 몇 살이야? 2. 그동안 뭐했어? 3. 그러면 왜 연기를 하려고 하냐? 4. 왜 연극/연기과에 진학하려고 하냐? 5. 희망하는 다른 과는? 6. 어떤 배우가 되고 싶나요? 7. 어떤 배우를 좋아하나요? 왜요? 8. 연기 작품은 왜 이 작품을 준비했나요? 9. 특기 작품은 왜 이 작품을 준비했나요? 10. 이 연기작품의 작가가 누구고 그 작가의 다른 작품은 뭐가 있나요? 11. 이 특기 작품의..

[연기 이론] 인물 분석

어떤 배역을 맡으면 가장 먼저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그 인물을 분석하는 것인데요. 아무런 매뉴얼 없이 시작하면 막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갖고 있던 정보를 공유하겠습니다. ◈ 성격 분석표 ◈ * 중요한 배역이든 단역이든 구체적인 인물의 분석이 필요하다. 정확한 연기는 정확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자신의 인물과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하자. 배역명 사람. 동물(개, 고양이 등). 식물(나무. 꽃) 비 고 신체적 환경 키 몸무게 얼굴모습 눈, 코, 입, 형태, 머리의 구체적 모습과 느낌 그림 그리기 몸매 가냘픈지, 뚱뚱한지, 배가 나왔는지, 팔 다리의 길이, 어깨 등 그림 그리기 유전적 특징 대머리, 유전적 질병, 냄새, 피부색 질병 불치병, 고질병, 만성질환, 감기, 무좀, 습진 등 상세하..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