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기이론 3

[연기 이론] 음성화를 위한 분석

음성화를 위한 분석 1. 충동 찾기 연기자가 극 중 인물의 충동을 알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정보처는 어휘다. 말과 말 사이의 행간까지도 읽을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남의 충동'에 의해서 만들어진 어휘(대사)에서 극 중 인물의 충동을 파악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어서 이를 파악하는 능력이 연기자의 중요한 '연기 잠재력'이 된다. 음성화에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본능적으로(충동보다는) 감정이 먼저 다가오는 것이다. 이미 '해야 할 말'(대사)이 알려져(쓰여) 있을 경우에 감정이 더 먼저 다가오는 것이 본성이다. 그래서 실제적으로 연기자가 충동에 다가가기가 어렵다. 다시 말하면 그 말을 하게 된 충동의 배경이나 동기, 또는 내면의 욕구나 말하고자 하는 의도보다는 본능적으로 그 말에 담겨 있는 심리나 감..

[연기 이론] 소리 말과 글말 그리고 응용하여 극작까지

소리 말 & 글말 소리 말과 글말의 차이 글말을 소리 내려면 연기자가 문법에 따라 '끊어 말하기'를 할 줄 알아야 한다. 또 글말은 소리 말과 달리 사람의 목소리의 기능을 배제한 체 얼마든지 창작이 가능해서 일상의 소리 말을 내는 목소리의 기능만으로는 부족하다. 소리 말 소리 말은 직접 목소리를 내는 것이어서 두뇌의 충동과 감정이 목소리에 그대로 살아있다. 그래서 두뇌의 움직임에 따라 리듬이나 휴지, 강조, 억양 등의 운율이 명확하게 목소리에 드러난다. 소리 말은 상대방에게 자기의 생각(의사)을 전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생활 언어' 여서 말에 조리를 내세우기보다는 신속한 전달 기능을 우선한다. 소리 말을 태어나면서부터 말을 익히고 숙달되어 언어 메커니즘이 자동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목소리를 내는 ..

[연기 이론] 무대 발성과 무대 화술이란?

무대 발성과 무대 화술 무대 발성이란? 연기자의 발성은 상대방 연기자를 겨냥하는 것이면서도 궁극적으로는 객석의 관객들이 알아들을 수 있어야 하고, 목소리를 높이면서도 말의 가치를 상실하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연기자는 일상과 달리 자기의 목소리를 자연스럽게 증폭시킬 수 있는 능력과 전달을 수행하는 조절 기능을 가져야 한다. 오늘날 관객들이 연기자에게 요구하는 목소리는 일상과 똑같은 리듬과 억양으로 극히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요구합니다. 그러므로 무대 발성은 자연스러우면서도 객석까지 전달이 되기 위해 힘 있는 목소리를 내야 하기에 많은 훈련이 필요합니다. 무대 화술이란? 화술 구사는 단순히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행위가 아니라 예술창조를 전제로 한 연주 행위이다. 따라서 행위자가 기술을 익혀야 하고 경험이 뒤따..

반응형
LIST